지난 다누리호에서는 큐브샛 1기를 싣고 날아갔습니다.
이번 아르테미스 1호에서는 큐브샛 10기를 싣고 날아갔다고 합니다.
여기서 나오는 큐브샛은 무엇일까요? 탐사선에 함께 실려간 큐브샛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큐브샛이란?
큐브샛은 큐브 + 위성의 합성어로 정육면체의 위성입니다.
큐브샛(QUBESAT) = QUBE + SATELITE
QUBE : 정육면체
SATELITE : 위성
큐브위성(초소형위성) 또는 큐브샛(Cubesat)은 크기가 10 cm×10 cm×10 cm에서 최대 20 cm×10 cm×60 cm에 이르는 인공위성 혹은 탐사선입니다. 국내에서는 우리말로 '꼬마 위성'이라는 이름으로도 불립니다.
크고 무거운 위성체의 경우, 개발의 난이도가 높아 전문 기업이나 정부기관에서 개발을 해야 하나, 큐브위성은 그 이하의 단계에서도 개발이 가능한 위성입니다.
발사 방법은 국제 우주정거장에 교대인원이 갈 때 같이 포장해서 궤도에 올릴 수도 있고, 이번 아르테미스호/다누리호에서 처럼 로켓으로 쏠 수도 있습니다.
아르테미스 1호에 실린 큐브샛의 종류는 10종류
이번 아르테미스 1호의 오리온 우주선에 실려간 큐브샛은 10종류입니다.
기존 13개를 보내려고 했으나, 개발이 완료되지 않아 10개만 보내게 되었습니다.
간단하게 어떤 종류의 큐브샛이 있는지 그림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1. Lunar IceCube : 달 표면에서 물과 얼음을 찾는 큐브샛
2. LunaH-Map : 달 표면의 물 퇴적물을 매핑하여 달 자원의 분포와 중요도를 평가할 수 있도록 함.
3. LunIR : 적외선 이미징으로 달 표면 관찰
4. OMOTENASHI : JAXA와 도쿄대 연구진이 개발. 달 충돌 임무 수행. 에어백을 통한 착륙이 가능한지를 실증
5. NEA Scout : 소행성에 플라이바이를 하고 소행성 관측 데이터를 수집
6. EQUULEUS : JAXA와 도쿄대 연구진이 개발. 지구의 플라즈마권 이미지 촬영
7. BioSentinel : 유기체인 효모가 18개월간 심우주 방사선에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실험해 우주비행사 보호에 활용할 예정.
8. CuSP : 태양 입자, 방사선 등 모니터링.
9. Team Miles : NASA의 큐브 퀘스트 챌린지 경진대회 우승작. 플라즈마 추진기를 사용해 우주에서 드래그 레이스를 벌일 예정.
10.ArgoMoon : 이탈리아 우주국, 유럽 우주국, 이탈리아 기업이 개발한 큐브샛. 오리온 우주선이 분리된 후 몇 시간 후에 발생하는 큐브샛 배치 단계에서 ICPS가 원격 측정값을 보낼 수 없단 문제가 있다. ICPS와 정밀 근접 비행을 해, 사진을 찍고 검사 데이터를 제공해 큐브샛 배치가 성공적인지를 확인한다.
전체적으로 SIZE 및 무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아르테미스 Series
"백 투 더 문" 달 착륙선 -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오늘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NASA의 달 착륙선 아르테미스 1호가 발사에 성공했습니다. 4전 5기 끝에 이륙에 성공한 아르테미스 1호의 행보가 기대됩니다. 간단하게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 대
apoliverse.tistory.com
아르테미스 1호 - 오리온 우주선은 무엇일까?(SLS는 뭘까?)
어제 미국 NASA에서 '아르테미스 1호' 로켓을 발사했습니다. https://apoliverse.tistory.com/17 "백 투 더 문" 달 착륙선 - 아르테미스 프로젝트 오늘 드디어 기다리고 기다리던 NASA의 달 착륙선 아르테미스
apoliverse.tistory.com
아르테미스 1호에는 왜 마네킹이 실렸을까?(사람은 언제타는데?)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는 21세기 미국의 달탐사 계획입니다.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은 궁금증 하나는 '사람이 탔냐?'입니다. 여기서 알아둬야 할 부분
apoliverse.tistory.com
달 탐사선 이름이 아르테미스(Artemis)로 정해진 이유(Feat. 그리스 로마 신화/ 아폴로/아르테미스/
11/16에 발사한 달 탐사선 아르테미스 호와 관련하여 아르테미스 이름은 어떻게 붙여진 걸까요? 일단 우주선과 프로젝트 이름에 대해 먼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미국 달 탐사 프로젝트 1. 아폴
apoliverse.tistory.com
아르테미스 1호에는 왜 마네킹이 실렸을까?(사람은 언제타는데?)
아르테미스 프로젝트는 21세기 미국의 달탐사 계획입니다. 유인 달탐사 프로젝트라고 불리는 아르테미스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은 궁금증 하나는 '사람이 탔냐?'입니다. 여기서 알아둬야 할 부분
apoliverse.tistory.com
참고 사이트
나무위키/위키피디아
https://www.nasaspaceflight.com/2022/11/artemis-i-cubesats/
https://www.space.com/nasa-artemis-1-moon-mission-cubesats
'Aerospace'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대 유인우주선 중 가장 먼거리에 도달한 아르테미스 1호/오리온 우주선/beyond the apolo (0) | 2022.11.30 |
---|---|
아르테미스1호 달탐사선 비행 현황 - [지금은 우주] 다누리는 아직인데 아르테미스 벌써 달에 근접 (0) | 2022.11.24 |
달 탐사선 이름이 아르테미스(Artemis)로 정해진 이유(Feat. 그리스 로마 신화/ 아폴로/아르테미스/오리온) (0) | 2022.11.18 |
아르테미스 1호에는 왜 마네킹이 실렸을까?(사람은 언제타는데?) (0) | 2022.11.18 |
아르테미스 1호 - 오리온 우주선은 무엇일까?(SLS는 뭘까?) (3) | 2022.11.17 |
댓글